- 논 문 -
가치경험을 위한 소설교육내용 연구 : 조선시대 애정소설을 대상으로
춘향전 개작 텍스트의 서사 변형 연구
<최치원> 남녀 대화의 양상과 특성
<바람의 나라>의 사례로 본 고전 수용의 상상력
판소리의 매체교육적 의의
<광한루기>에 나타난 '취향'의 문화론적 의미
문학을 통한 인문지리적 사고력 교육의 가능성 탐색 - 평양을 배경으로 한 고전소설을 대상으로
<雙美奇逢>에 형상화된 애정의 양상과 의미 연구
독자 비평 자료를 통해 본 고전소설의 효용에 대한 연구
고전서사를 활용한 창작교육의 가능성 탐색 문학교육과 창작 능력 : 고전서사를 활용한 창작교육의 가능성 탐색
전승사의 관점에서 본 채만식의 <沈봉사> 연구
영화 〈왕의 남자〉에 나타난 욕망 읽기
춘향전과 순정만화를 통해 본 '낭만적 사랑'의 형성과 변화
설화를 통한 자기성찰 방법의 실행 연구
고전소설 소재 인물의 역사적 삶에 대한 연구 -<운영전>의 안평대군에 대한 실록의 기록을 대상으로-
춘향가 수용자의 즐거움
설화를 통한 자기 성찰의 사례 연구
문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고전소설과 영상변용물의 비교 연구
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의 차이와 습합에 대한 소고 -창작교육 연구의 한 사례를 대상으로
드라마 <춘향전>과 영화 <춘향뎐>의 비교 연구 -재현 대상과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-
아동의 설화반응 사례로 본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
- 저 서 -
고전소설과 서사론
장화홍련전
춘향전의 수용문화
뇌파측정을 통한 완벽주의 개선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
완벽주의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
필사본 <화랑세기(花?世紀)>의 서술방식과 서술시각에 대한 연구
공감과 연민을 위한 예술교육의 역할과 교육내용-판소리문학 교육을 중심으로-
연민 교육을 위한 인성교육의 철학과 문학교육의 역할
자기표현의 글쓰기 전통과 교육적 창신
신윤복 춘의 풍속화의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
음양오행적 상상력에 기반한<구운몽>의 창작과 향유 방식 연구
조선후기 요호부민(饒戶富民)과 부(富)에 대한 시선: ‘놀부’와 ‘옹고집’을 대상으로
문학치료학의 관점에서 본 연애의 문제 -자기서사에 대한 이해와 소통의 경험이 대학생 남녀의 호감도 증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?-
고우영의 만화 <놀부뎐>의 서사 변용 양상과 흥부전의 수용문화
신경증에 걸린 고전소설의 인물들- <주생전>의 배도, <운영전>의 안평대군과 유영을 대상으로
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안
초기 청소년기 폭력성의 문학치료적 중재를 위한 시론-‘폭력 예방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’의 구안 과정을 중심으로-
<옥단춘전>과 <오유란전>의 도덕적 거리
박지원 평문의 작문론 연구
OECD 성인역량조사결과에 나타난 세대 간문해력의 차이
재미의 관점에서 본 <큰누님 박씨 묘지명(伯?孺人朴氏墓誌銘)>
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본국어교육의 교육과정과 교과서*
조선시대 기생의 몸에 대한 자의식 연구
영화 <인셉션>과 문학치료학
한국 드라마로 이어지는 고전서사의 전통 -드라마 적도의 남자(2012)를 중심으로-
사대부의 권태, 그 문명비판적 의미 -이규보의 용풍(?諷), 성간의 용부전(?夫傳) 성현의 조용(嘲?)를 대상으로-
<단군신화>에 대한 현대 독자의 수용 양상과 특성
‘그림 보고 글쓰기’의 전통과 교육적 창신-<마상청앵도(馬上聽鶯圖)>의 그림과 제화시를 중심으로-
?협창기문?의 독자 반응 연구-작품 해석과 도덕적 평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-
<변강쇠가>의 영화적 변용과 그 문화적 의미
시에 대한 가치론적 물음과 응답의 영화, <시>
<구시마문(驅詩魔文)>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
<구운몽>의 정서 형성 방식에 대한 교육적 고찰
고전소설 소재 인물의 역사적 삶에 대한 연구 -<운영전>의 안평대군에 대한 실록의 기록을 대상으로-
옛이야기와 제대로 겨루기 위하여-김환희 <옛이야기와 어린이책> (서평)
문해력 수준을 고려한 단계별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-‘교육적 배려 대상자의 문해력 신장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’을 대상으로 문해력 수준을 고려한 단계별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-‘교육적 배려 대상자의 문해력 신장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’을 대상으로
문해력 신장을 위한 문학치료 실행연구 시론
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의 차이와 습합에 대한 소고 - 창작교육 연구의 한 사례를 대상으로 -
비판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드라마 비평문 쓰기교육 방법 연구
<최치원> 남녀 대화의 양상과 특성
고전서사를 활용한 창작교육의 가능성 탐색-<수삽석남(首揷石枏)>의 소설화 자료를 대상으로-
영화의 소설화 과정에 대한 고찰-영화 및 각색소설 <꽃 피는 봄이 오면>(2004)를 사례로
<윤지경전>의 가치 갈등과 그 문화적 의미
구봉서 웃음의 특성과 그 문화적 의미
판소리의 매체교육적 의의
<바람의 나라>의 사례로 본 고전 수용의 상상력
독서생활사 연구 시론
설화를 통한 자기성찰 방법의 실행 연구
잡지 ?청춘(靑春)? 독자투고란의 어문교육사적 연구
설화를 통한 자기 성찰의 사례 연구
문학을 통한 인문지리적 사고력 교육의 가능성 탐색
잡지 <少年>의 독자투고에 대한 어문교육사적 연구
서사 텍스트의 주제 진술 방식 연구
<학원>의 심사평에 나타난 학생문예관 연구
영화 <왕의 남자>에 나타난 욕망 읽기
문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고전소설과 영상변용물의 비교 연구
독자 비평 자료를 통해 본 고전소설의 효용에 대한 연구
<쌍미기봉>에 형상화된 애정의 양상과 의미 연구
전승사의 관점에서 본 채만식의 <沈봉사> 연구
춘향전과 순정만화를 통해 본 ‘낭만적 사랑’의 형성과 변화
<광한루기>에 나타난 '취향'의 문화론적 의미
춘향가 수용자의 즐거움